쥐라기 후기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쥐라기 후기는 옥스포드절, 킴머리지절, 티톤절로 구분되며, 1억 6천 1백 5십만 년 전부터 1억 4천 5백만 년 전까지에 해당한다. 이 시기 판게아는 로라시아와 곤드와나로 분리되었고 대서양이 형성되었으며, 기후는 온난하고 습윤했다. 용각류, 수각류, 조반류, 조각류를 포함한 다양한 공룡들이 번성했으며, 일부 악어형류와 최초의 새가 등장했다. 주요 지층으로는 로린냐 층, 알코바사 층, 모리슨 층 등이 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| 쥐라기 후기 | |
|---|---|
| 시대 정보 | |
| 약칭 | J3 |
| 시작 | 1억 6150만 년 전 (± 100만 년) |
| 끝 | ~1억 4500만 년 전 |
| 지질 시대 | |
| 층서 단위 | 후기 쥐라기세 |
| 시대 단위 | 후기 쥐라기 |
| 선행 | 중기 쥐라기 |
| 후행 | 백악기 |
| 상세 정보 | |
| 시기 구분 | 티토니움절 키메리지움절 옥스포드절 |
| 층서학적 정보 | |
| 하한 정의 |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음 |
| 하한 후보 | 암모나이트 Cardioceras redcliffense의 지평선 |
| 하한 GSSP 후보 | 영국 도르셋 레드클리프 포인트 프랑스 프로방스 사부론 |
| 상한 정의 |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음 |
| 상한 후보 | 자기 연대 M18r의 기저 칼피오넬리드 구역 B의 기저 암모나이트 Berriasella jacobi의 최초 출현 지점 |
| 상한 GSSP 후보 | 없음 |
| 참고 자료 | |
2. 시대 구분
후기 쥐라기는 상부 쥐라기 지층의 3개 (동물) 단계에 해당하며 3개의 절(age)로 나뉜다.
| 절 | 시기 (Ma) |
|---|---|
| 티톤절 | 149.2 ±0.7 – 145.0 ± 0.8 |
| 킴머리지절 | 154.8 ±0.8 – 149.2 ±0.7 |
| 옥스포드절 | 161.5 ± 1.0 – 154.8 ±0.8 |
2. 1. 티톤절
Tithonian영어 (1억 4920만 년 전 ±0.7 – 1억 4500만 년 전 ± 0.8)2. 2. 킴머리지절
Kimmeridgian|킴머리지절영어은 1억 5천 4백 8십만 년 전 (±0.8) ~ 1억 4천 9백 2십만 년 전 (±0.7)에 해당한다.[1]| 절 | 시기 (Ma) |
|---|---|
| 티톤절 | 149.2 ±0.7 – 145.0 ± 0.8 |
| 킴머리지절 | 154.8 ±0.8 – 149.2 ±0.7 |
| 옥스포드절 | 161.5 ± 1.0 – 154.8 ±0.8 |
2. 3. 옥스포드절
Oxfordian영어은 161.5±1.0 Ma부터 154.8±0.8 Ma까지이다.3. 지리 환경
쥐라기 후기에는 판게아가 북쪽의 로라시아와 남쪽의 곤드와나라는 두 초대륙으로 분리되기 시작하면서 대서양이 형성되었다. 그러나 이 시기에 대서양은 비교적 좁았다.
곤드와나 대륙은 옥스포드기 시점에서 아프리카-남아메리카 괴와 오스트레일리아-인도-남극 괴로 분열을 시작했다. 티토니안기에는 해진의 영향으로 곤드와나 대륙과 로라시아 대륙이 분단되었고, 유럽은 섬이 되었다. 게다가 킴머리지안기에서 티토니안기 전에 이후의 이베리아 반도와 북아메리카 대륙이 바다로 격리되었기 때문에 당시 이베리아 반도는 양 대륙에서 고립되어 있었다. 그러나 어느 것도 완전히 분단된 것은 아니며, 단기적으로 육교가 형성되기도 하여 공룡의 이동을 완전히 단절시킬 정도의 큰 방해는 되지 않았다[12][15]
4. 기후 환경
후기 쥐라기는 전 세계적으로 온난하고 습윤했지만[7], 당시 이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등에서는 건조 기후와 습윤 기후가 번갈아 나타났다[15][8]. 이산화탄소 농도는 중기 쥐라기부터 계속해서 서서히 상승하여, 홀로세의 지구보다 높은 5 - 10% 정도를 차지했다. 식생은 트라이아스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, 습윤 지역에서는 구과식물문이 번성했다[11].
북아메리카에서는 모리슨 층이 대표적인 지층이다. 중기 쥐라기까지 광대했던 북아메리카의 내만은 육지화되어 습윤한 범람원을 형성했고, 침엽수와 목생 양치류 및 은행나무와 소철이 생육했다. 수변에서 멀어질수록 배후지는 건조해져, 식생은 사바나를 거쳐 양치류 식물로 덮인 지면으로 변화했다. 현재 지구의 식생과의 대비로부터, 당시의 북아메리카는 아열대 기후 또는 습도가 높은 온대 기후였다[8]. 한편,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하는 고 준가르 분지에는 하천과 호수가 산재해 있었고 식물도 번성했지만, 기후는 고온 건조했다[9].
5. 생물상
쥐라기 후기는 공룡이 번성했던 시기로, 용반류에 속하는 용각류와 수각류, 조반류에 속하는 갑옷 공룡과 조각류 등 다양한 종류의 공룡들이 살았다. 이 시기에는 일부 악어형류와 최초의 새들도 나타났다.
| 종류 | 대표적인 생물 |
|---|---|
| 용각류 | 카마라사우루스, 아파토사우루스, 브라키오사우루스, 브론토사우루스, 디플로도쿠스, 바로사우루스, 에우로파사우루스, 수페르사우루스, 디크레오사우루스, 기라파티탄 |
| 수각류 | 알로사우루스, 에판테리아스, 토르보사우루스, 케라토사우루스, 콤프소그나투스, 양추아노사우루스 |
| 갑옷 공룡 | 투오지앙고사우루스, 스테고사우루스, 가르고일레오사우루스 |
| 조각류 | 드리오사우루스, 캄프토사우루스 |
| 기타 | 시조새, 람포링쿠스, 프테로닥틸루스, 오프탈모사우루스, 리오플레우로돈, 페리스핑크테스 |
5. 1. 용각류
카마라사우루스(Camarasaurus): 북아메리카 출신의 대형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아파토사우루스(Apatosaurus): 북아메리카 출신의 대형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브라키오사우루스(Brachiosaurus): 북아메리카 출신의 거대한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브론토사우루스(Brontosaurus): 북아메리카 출신의 대형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디플로도쿠스(Diplodocus): 북아메리카 출신의 매우 긴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바로사우루스(Barosaurus): 북아메리카 출신의 매우 긴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에우로파사우루스(Europasaurus): 유럽 출신의 작은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브라키트라켈로판(Brachytrachelopan): 남아메리카 출신의 작은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수페르사우루스(Supersaurus): 아마도 가장 긴 용각류 공룡이다.
마라아푸니스사우루스(Maraapunisaurus):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큰 용각류 공룡 중 하나이다.
디크라에오사우루스(Dicraeosaurus): 아프리카 출신의 대형 초식 용각류 공룡이다.
기라파티탄(Giraffatitan): 아프리카 출신의 또 다른 대형 용각류 (일반적으로 ''브라키오사우루스''의 한 종으로 인식)이다.
용반류 중 용각류는 세계 각지에서 방산·거대화를 이루었다.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는 신용각류의 카마라사우루스과와 브라키오사우루스과(모두 마크로나리아) 및 디플로도쿠스과(디플로도쿠스상과)가 서식했다. 브라키오사우루스과는 후의 아프리카에도 서식했으며, 후의 남아메리카를 경유하여 북아메리카로 회귀한 것도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. 또한 디플로도쿠스상과 중 디크라에오사우루스과의 서식역은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로 한정되어, 북반구에만 분포하는 디플로도쿠스과와는 대조적으로 남반구를 중심으로 분포했다.[12] 신용각류 중에는 급속히 대형화되어, 체중 50톤 초과라는 사상 최대의 육상 동물로 진화한 것도 출현했다.[11] 중화인민공화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는 당시 고립되어, 신용각류에 속하지 않는 독자적으로 진화한 마멘키사우루스과(Mamenchisauridae)가 서식했다.[12]
5. 2. 수각류
알로사우루스, 에판테리아스, 사우로파가낙스, 양추아노사우루스, 토르보사우루스, 케라토사우루스, 엘라프로사우루스, 오르니톨레스테스, 콤프소그나투스 등이 쥐라기 후기에 서식했다.[11][15] 티라노사우루스상과도 이 시기에 출현했으며, 구안롱(중국), 아비아티라니스(포르투갈), 스토케소사우루스(북아메리카) 등이 확인되었다.[13][14] 다만 이 시대의 티라노사우루스상과는 지배적인 포식동물이 아니었다.[15]5. 3. 조반류
조반류에서는 검룡류가 다양하게 분화되었고, 장순아목에 속하는 곡룡류도 진화하기 시작했다. 앞다리에 스파이크를 가진 기저 조각류와, 이족 보행을 하는 기저 각룡류도 출현했다.[11]이 시기에는 투오지앙고사우루스(아시아), 스테고사우루스(북아메리카와 유럽), 켄트로사우루스(아프리카), 가고일레오사우루스(북아메리카) 등의 갑옷 공룡이 서식했다.
5. 4. 조각류
드라이오사우루스, 캄프토사우루스는 쥐라기 후기에 서식한 대표적인 조각류 공룡이다.[11]5. 5. 기타
인롱, 차오양고사우루스, 주라마이아, 시조새, 람포링쿠스, 프테로닥틸루스, 안우로그나투스, 안구룡, 리오플레우로돈, 다코사우루스, 페리스핑크테스 등이 쥐라기 후기에 서식했다. 스칸소리오프테릭스과가 등장했지만, 조류와의 경쟁에서 밀려 멸종했다.[11]6. 주요 지층
중기 쥐라기부터 이산화탄소 농도가 계속해서 서서히 상승하여, 홀로세의 지구보다 높은 5 - 10% 정도를 차지했다. 식생은 트라이아스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으며, 습윤 지역에서는 구과식물문이 번성했다.[11]
후기 쥐라기의 주요 지층으로는 포르투갈의 로린냐 층과 알코바사 층(모두 킴메리지안 절 - 티톤 절)이 있으며, 많은 공룡의 종이 산출되고 있다. 이 지층들은 다소 건조하며, 호수와 더불어 수변에 식물이 무성했던 것으로 생각된다.[15] 북아메리카에서는 모리슨 층이 대표적인 지층이다. 중기 쥐라기까지 광대했던 북아메리카의 내만은 육지화되어 습윤한 범람원을 형성했고, 침엽수와 목생 양치류 및 은행나무와 소철이 생육했다. 수변에서 멀어질수록 배후지는 건조해져, 식생은 사바나를 거쳐 양치류 식물로 덮인 지면으로 변화했다. 현재 지구의 식생과의 대비로부터, 당시의 북아메리카는 아열대 기후 또는 습도가 높은 온대 기후였다.[8] 한편,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하는 고 준가르 분지에는 하천과 호수가 산재해 있었고 식물도 번성했지만, 기후는 고온 건조했다.[9]
참조
[1]
문서
Owen 1987
[2]
서적
The Geologic Timescale 2012 (volume 1)
Elsevier
[3]
문서
基底年代の数値では、この表と本文中の記述では、異なる出典によるため違う場合もある。
[4]
문서
百万年前
[5]
문서
「始生代」の新名称、日本地質学会が2018年7月に改訂
[6]
웹사이트
INTERNA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(国際年代層序表)
http://www.geosociet[...]
日本地質学会
2021-03-10
[7]
문서
『世界の巨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─進化のふしぎ』第66頁
[8]
문서
『世界の巨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─進化のふしぎ』第65頁
[9]
문서
『世界の巨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─進化のふしぎ』第45頁
[10]
웹사이트
最古の巨大恐竜類の化石を発見、進化の定説覆す
https://natgeo.nikke[...]
日経ナショナルジオグラフィック社
2021-03-18
[11]
서적
グレゴリー・ポール恐竜辞典 原著第2版
共立出版
2020-08-30
[12]
문서
『世界の巨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─進化のふしぎ』第42-43頁
[13]
문서
『世界の巨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─進化のふしぎ』第146-147頁
[14]
웹사이트
ティラノ軍団が現れたのは梅雨の時期
https://gendai.media[...]
講談社
2021-03-23
[15]
문서
『世界の巨大恐竜博2006 生命と環境─進化のふしぎ』第69-71頁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